본문 바로가기
자기 개발 및 자격증

토익750점 직장(알바)병행해서 취득하기(LC편)

by 자몽라임with 2021. 6. 26.
반응형

페이스북에도 올렸지만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해서 처음블로그에 입문하여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블로그실력은 병아리실력도 안되서 많은 양해 부탁드립니다.

미리 말씀드리면 저는 수능 5등급 맞을 정도로 공부를 엄청 못했고 그 뒤로 쭈욱 계속 못하는 삶을 살다가 26살에 공신 강성태 님과 고영성작가님의 완벽한 공부법을 알게 돼서 27살에 공부법을 완전히 깨우치게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그전까지 아무리 해도 안되다가 딱 두 달 낮에는 항상 알바(저는 항상 생계형 알바였습니다) 하고 밤에
하루 3-4시간씩 공부하면서 700 후반을 맞게 되었습니다. 물론 시간을 더 들여서 공부한다면 훨씬 잘 맞을 수 있을 자신 있습니다.
참고적으로 완전 노베이스인 상태에서 토익 900을 넘기려면 보통 6개월에서 1년의 시간이 소요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물론 어디까지나 예외는 있고요 첨부터 영어를 잘하거나 유학파 거나 집안이 금수저집안이라 조기교육 받으면 한 달 안에 하는 사람도 있겠죠 ㅋㅋ
말이 길었습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토익공부하는데
잘못된 정보부터 말하겠습니다


1. 단어
사람들이 항상 단어가 중요하다 말하는데 결론부터 말하면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왜냐하면
엘시 같은 경우에 여러분들이 스크립트를 보면 아 내가 이단 어를 못 알아 들었다고 할 정도로 다 아는 단어이기 때문에 단어를 몰라서 틀린 게 아니라
미국식 발음의 고유의 연음, 호주식, 영국식 또는 발음속도가 빨라 알아듣지 못하고 틀리는 겁니다
그래서 엘시는 공부방법은 파트 1-4까지 동일합니다
틀린 문제가 있으면 일단 다시 처음부터 3번 정도 들으면서 무슨 내용인가 파악하려고 하고 그다음 스크립트를 확인한 다음 내가 왜 이걸 못 알아 들었지 원인분석을 합니다 단어를 몰랏나 문법을 몰랏나 아님 발음을 못알아 들었나 그러고 나서 스크립트를 보면서 3-4번 정도 엘시음성과 똑같은 발음으로 말한다는 생각으로 바름을 스크립트를 보면서 따라한 다음 그 뒤에는 스크립트를 안 보고 3-4번 정도 계속 따라 해야 합니다
문장발음 자체를 외우고 내 걸로 만든다는 생각으로 해야 합니다. 파트 원투는 문장이 짦기때문에 외우듯이 해야 되고 파트 3-4는 워낙 방대하기 때문에 내가 놓친 문장이나 구절의 발음을 외우고 흐름을 파악하는 정도로 마무리해야 합니다
그래서 하루 5문제 정도만 꾸준히 하시면 분명 빠르게 고득점 할 수 있습니다 저도 엘시는 항상 440에서 450 이렇게 받았습니다


2. 엘씨 받아쓰기
절대 하지 마세요 전혀 효율적이지 않고 효과 없습니다
아니 문제 자체가 안 들리는데 받아쓰기해서 뭐 합니까 전혀 도움 안되니깐 시간이 너무 소요되니 절대 하지 마세요.


3. 단어장 암기
이건 최대한 빨리 끝내야 됩니다 학원이나 영단어장 3000개를 빨리 외우고 그다음부터 알시문제에 모르는 단어 나오면 그때 해설지 보면서 눈으로 확인하고 넘어가야 합니다 절대 단어암기에 많은 시간 투자 하지 마시고 그 시간에 알시투자해야 합니다
단어암기 팁은 어떤 단어는 어원이 있어서 그 어원을 파악을 외우면 쉽게 외우고 어떤단어는 한국말이랑 연상이 되서연상법으로 외우고 어떤단어 어원도 없고 연상도 없어서 그냥 몇 번 쓰고 외워야 할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 방법 다 사용하시고 최후에는 어느 정도 수준이 쌓이면 눈으로 몇 번 보고 외우시계 될 겁니다
엘시만 일단 올리고 다음에는 알씨공부방법도 올려 드리겠습니다.
그리고 퇴준생그룹에도 올린 글이지만 여기서도 또올리겠습니다 ㅎㅎ 살면서 꿀팁 같은 경우는

예를 들어서 항상 블로그나 유투버에 보면 30살에 알게된 점 깨닫게 된점 이렇게 해서 올리는데 결론만 말하면 별거 없습니다 30살 되어봤자 얼마나 먹었다고 멀 그리 깨닫겠습니까?? 다만 확실히 말씀드릴 수 있는 건
본인이 열심히 살아왔다면 20대 보다 조금 더 더 나은 선택을 할수 있다는 가능성이 조금더 올라갔다는 거 딱이정도고 그다음은 20대랑 별반 차이 없습니다
이렇게 해주고 싶은 얘기가 많은 데 조금씩 앞으로 원하신다면 천천히 올려 드리겠습니다

반응형